728x90 반응형 한국은행22 인구 고령화와 노동시장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은? 한국은행 5월 전망 보고서의 심층분석에서는 고령층 중심으로 경제활동참가율 추세를 분석해보고 이를통한 노동공급 추세를 전망했다. 이러한 내용을 한국은행 블로그에 간단하게 설명하였다. 최근 노동 공급은 65세 이상 고령층 인구가 주도하고 있다. 20년대 이후 전 연령층에서 경제활동 참가율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고령층의 높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은행 통화신용 정책 보고서를 확인해도. 최근 실업률의 감소는 노동시장의 65세이상 인구의 단기 노동공급의 증가에 견인한다고 하였다. 성별로 나눠보면 여성의 경우가 경제활동 참가율의 증가세가 크다. 특히 남성이 낮은 이유는 여성보다 과거에 높은 기술 역량을 필요하는 산업에 고용되었었는데, 앞으로 기술 역량 필요 수준이 높아짐에따라 은퇴 비율이 높아져 참여율이 상대적.. 2023. 5. 31. 소비자 물가 지수 3.7%!! 물가 하락하는가? [물가 상승,하락 요인 분석&경제 시사] 소비자물가동향이 발표되었습니다. 4월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7%로 드디어 3%대를 찍었는데요!! 앞으로의 소비자물가 어떻게 될 것인지 그리고 통화정책은 이에 따라 어떻게 운영될 것 인지 얘기해보겠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월 대비 0.5%p나 감소했습니다! 이러한 감소효과는 작년 물가가 상당히 높았던 기저효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물가는 작년 7월 고점을 찍고 내려오고 있는데요. 2월 부터 한국은행 예상대로 기저효과로 급격히 물가상승률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등락률에서 알 수 있다 싶이. 고점이였던 7월 이후 동향이 가장 중요할 것 같습니다. 다른 외생변수(다른 요인들)을 제외하고 소비자 물가 추세로 보았을때 고점이후 하락세가 저조하고 근원물가 상승률 (한국에서 자주 쓰는 농산물 제외.. 2023. 5. 6. 2월 물가 상승률 하락 4%대 금리 인하하나? 금리 인상의 세가지 관점[경제 시사] 안녕하세요!! 남는곰이에요!! 오늘 통계청에서 소비자물가동향 보고서를 냈는데요. 2월달 물가상승률이 4.8%대로 전월대비 -0.4% 하락했습니다!! 한국은행 2월 통화정책방향 기자회담에서 이창용 총재가 말하길 작년 우크라이나 사태이후 3월달부터 물가 상승이 시작되어 3월달엔 4% 초반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요. https://www.sedaily.com/NewsView/29MX6HCRP8 [속보]2월 물가상승률 4.8%…전기·가스·수도 28.4% ↑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전월보다 낮아지며 10개월 만에 4%대로 둔화했다. 석유류와 축산물이 하락세로 돌아섰지만, 상수도 요금이... www.sedaily.com 앞으로 통화정책방향과 기준금리 기조는 어떻게 될까요? 2월달 금통위에서는 동결했는데 금.. 2023. 3. 6. 한국은행 3.5% 기준금리 동결 결정 [경제시사] 2023년 2월 23일 2번째 금통위 통화정책결정회의에서 3.5%로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추후 인플레이션 상황과 경기둔화 상황에 추가 금리 인상 스탠스를 유지했습니다. 근거는 이와 같습니다. 물가 상승률의 둔화 속도의 완만함. 국내 경기 부진 + 3월 이후 3%대 물가 상승률 흐름의 기대 추후 인상 가능성을 열어둔채로 동결하여 당분간 지켜보자. 라는 스탠스입니다. 물가 상승률 둔화속도가 완만하다는 것은 미국과 우리나라의 경우 12월 대비 cpi가 미국은 0.1%만 하락 한국의 경우 0.2% 상승하였습니다. 물가상승률이 하락하는 속도가 줄어 예상치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이에따라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가속화될것으로 보고있고, (최근 고용지표 발표에서도 예상치를상회하고 있었음.) 환율도 1300원대를.. 2023. 2. 23. 이전 1 2 3 4 5 6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