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미국8

삼성전자 연이는 신저가 주가 하락 이유,,, 트럼프와 3분기 실적 삼성전자가 이번주 최악의 한주를 보내고 있습니다.6만원을 뚫고 내려가 이젠 5만원의 지지선도 위험해 졌습니다. 이는 트럼프 당선으로 반도체 지원법 폐지와 미국의 리쇼어링이나 자국 생산 위주의 정책들,그리고 예상보다 저조한 3분기  실적등이 이러한 하락을 야기했습니다. 또한, 삼성전자는 최근 세계시장에 1위를 점유하고 있던 다수의 산업부근에서 밀리기 시작하였고, sk하이닉스에 HBM 사업이 뒤쳐지면서 "삼성전자의 미래"를 좋지 않게 보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이번 3분기 삼성전자 매출과 영업이익입니다.매출 기준으로 보았을때 SDC와 하만 사업, VD/DA 사업부근을 제외하고 나머지 사업들은 소폭 증가한 모습을 보였습니다.그러나 영업이익율쪽을 살펴보면 매출이 증가했던 부분에 오히려 하락이 일어났고,하락이.. 2024. 11. 13.
금리 인상의 영향으로 소비는 많이 줄어들었는가?[한은 블로그 리뷰]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347/view.do?nttId=10082690&menuNo=201106 금리상승과 소비 : 누가 무게를 짊어지는가? | 블로그(상세) | 커뮤니케이션 | 한국은행 홈페이지 한국은행 블로그 www.bok.or.kr 한국은행 블로그 리뷰를 해보겠습니다. 최근 기준금리는 한국의 경우 9차례 연속 기준금리 동결을 하면서 물가를 최대한 안정화하고 슬슬 기조를 변환 시킬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최근 경기전망을 보면 한국의 경우 물가와 근원 물가 모두 2%대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조금 예상보다 높은 최근 1월 물가에 당황하고 있는데요. 연준 발언에 의하면 예상보다 높지만, 그래도 안정권이라고 했었습니다. (과연 진짜일지.. 기준금리 인상 시.. 2024. 3. 2.
8월 소비자물가지수 3.4% 다시 다가오는 인플레이션의 공포 통계청에서 발표한 8월 소비자 동향을 살펴보면 서비스 물가 중심으로 다시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반등했습니다. 다시 인플레이션의 공포가 다가오는걸까요? 부동산 pf 부실 위험도 다시 재조명 되는 가운데 이러한 소비자 물가상승률의 반등은 기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할까요? 한국은행 8월 경제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시나리오 별로 살펴보면 시나리오1,2는 각각 미국과 중국 경기 둔화이고 시나리오3는 지정학+이상기후로 인한 원자재 가격상승입니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다양한 시나리오를 보더라도 금년에는 3%대로 예상됩니다. 2%까지 금년 상반기에 하락했던 이유는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인한 기저효과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작년 인플레이션을 견인했던 것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인한 수출 물가 상승입니다. 전년동월대비.. 2023. 9. 5.
중국경제 침체와 우리나라 경제 악화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강해지면서 우리나라의 경제 둔화도 우려됩니다. 하지만, 중국인의 국내 여행자 증가가 예상되면서 민간 소비 중심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우리나라 경제는 7월 산업활동 동향을 보면 생산 소비 투자 모두 감소하는 트리플 감소를 기록했습니다. 여전히 광공업과 제조업 생산이 부진하고, 재고 는 증가했으며, 소비 또한 7월 들어서 감소하면서 팬트업 효과가 감소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소비는 화장품과 같은 비내구제 중심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중국인 국내 여행이 증가하면서 8월이나 9월 부터는 재차 상승할 여력이 있어 보입니다. 투자는 여전히 낮은 생산과 글로벌 경기 침체 그리고 고금리 영향으로 저조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국 은행 8월 전망에 의하면 올해 성장률은 1.4%로 .. 2023. 9.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