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경제상식13

현실에 가까운 경제 행태경제이론!! [경제상식] 오늘은 행태경제이론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 하려고합니다. 행태경제이론 기존의 경제학을 주류 경제학이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신고전파 경제학입니다. 주류 경제학의 기본적인 가정은 합리성과 이기심으로 경제 주체들이 선택을 할 때 이기심과 합리성에 의해서 선택을 한다고 가정합니다. 하지만 행태경제이론은 이 합리성과 이기심에 대한 의문으로 부터 나옵니다. (현실에서는 이러한 합리적인 선택이 쉽게 볼 수 없다 는 것) 행태경제학은 사람들이 선택하는 행위에 합리성과 이기심이 항상 고려되지 않는다는 제한된 합리성 을 주장합니다. 행태경제이론의 예 A와 B라는 학생이 있습니다. 이 두 학생은 '주식으로 돈버는 사람이 많다'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주류경제학에 의하면 합리성을 통해 공식적인 통계와 분석을 통해서 이.. 2021. 1. 20.
모멘텀(Momentum), 모멘텀 매매(Momentum trading)란? 주식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모멘텀? 이라는 단어가 정말 생소하실거에요. n기간 전 종가. 가격을 이용한 추세 판단 지표이다. 즉 과거 일정 시점 가격과 현재 가격을 비교함으로써 현재 가격이 상승 추세에 있는지 하락 추세에 있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계속 상승해 왔던 주식은 Momentum 지표가 대부분 기간 양값을 지녀 왔고 지지부진한 주식은 음값을 지녀왔다. 즉, 상향 물타기가 가능한 주식만이 상승해 왔다는 뜻이다. 0기준선 이상에서 매수하고 0기준선 이하에서 매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가를 비교한다는 개념은 같으나 표기방법만 다른 Price ROC 지표도 있다. 해외에서 차트를 통한 기술적 추세 매매를 Momentum Trading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나무위키- 더럽게 어렵죠? 쉽.. 2021. 1. 19.
네트워크 효과 [쏠림효과,잠김효과] 네트워크 효과는 한 상품을 소비할때 얻는 효용이 다른사람들이 같은 상품을 소비할때마다 증가하는 현상을 네트워크 효과라고 합니다. 예를들면 페이스북, 카카오톡이 그 예가 될 수 있겠네요. 사용자가 많으면 많을 수록 사용하는사람들이 더욱 편리해지고 이점이 많아지는 것 이지요!!! (ex 카카오톡 사용자가 많아서 카카오톡으로만 대화가 가능한것 네트워크효과로 인해서 나타는 현상 두가지가 있는데요. 바로 ● 쏠림 현상 ● 잠김 효과 입니다. 먼저 1. 쏠림 현상은 네트워크 효과에 따라 한 집단에 사용자 수(사람 수)가 몰리는 현상 입니다. (ex 카카오톡과 라인중 카카오톡에 사용자가 몰림 2. 잠김효과은 네트워크효과에 따라서 한 상품의 사용자가 다른상품으로 옮겨감으로써 발생하는 비용이 증가해 옮기지 못하는 현상 .. 2021. 1. 15.
할인율, 현재가치와 미래가치[pv,fv] 우리가 평소에 많이듣던 이자율 이자율을 할인율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여기서 이자율은 시장이자율) (보통 이자율은 위험성과 기간에 따라 달라짐)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미래가치: 현재가지고 있는 자본이 미래에 가져올 부의 가치 2. 현재가치:미래에 얻을 부의 가치(미래가치)를 현재시점으로 치환한 값 3.미래가치를 현재가치로 바꾸어주는 비율 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쉽죠 더 쉽게 정리하면 미래버는 돈! → 미래가치 미래버는 돈을 현재시점의 가치→ 현재가치 미래버는돈과 그 현재가치의 비율 →할인율 자 그럼 미래가치와 현재가치를 구해봅시다 아래 그림을 보시면 왼쪽은 미래가치를 오른쪽은 현재가치를 구하는 방법을 나타냅니다. 1. 미래 가치는 미래에 벌 수 있는 돈이기 때문에 예금 했을때 가정해서 이자율.. 2021. 1. 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