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시사

외환 스왑이란? 한국은행 국민연금공단과 외환스왑 연장!! 국민연금의 환리스크 헷지

by 남는곰 2023. 12. 16.
728x90
반응형

2023년 12월 15일 한국은행 공시로 인해 국민연금 공단과의 외환스왑거래 실시를 합의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은행은 환율 변동 리스크에 적극적으로 대비할 수단이 많아졌고, 마찬가지로 

국민연금 공단도 내년도 투자에대해서 환리스크에 대비하며 수익을 추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최근 들어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고, 내년도에 미연준의 3차례 금리 인상 기대가 있는 만큼

스왑거래로 인해 국민연금 공단은 많은 이익을 얻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스왑거래가 무엇이길래? 한국은행과 타 국 중앙은행 혹은 국민연금공단과 같은 공공기관들이

계약을 체결하는 것일까요?

 

스왑거래란?(swap)

서로다른 금리 혹은 다른 통화를 같은 시점에 정한 비율 혹은 가격으로 교환하고, 만기일에 다시 돌려받는 것으로 

선물 거래와 비슷한 거래의 거래입니다. 스왑거래는 일반적으로 통화스왑이 가장 흔하며, 장외시장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규모도 상당히 크고, 중앙은행 끼리 거래하는 경우가 보통입니다.

 

팬데믹 기간에 2021년 미연준과 통화스왑 600억규모의 계약을 한적이 있으며 동 기간에 UAE, 터기, 유로와 같이 다양한 국가들과 통화 스왑거래를 한 이력이 있습니다.

 금융 위기 혹은 외환 변동성이 확대되거나 그럴 것으로 기대되는 경우 중앙은행은 통화 스왑 거래를 체결하고 위기에 대응하도록 만비합니다. 일본 중앙은행과 같이 규모가 크고 영향력이 높으며, 기축통화로써 어느정도 영향이 있는 화폐 발행권을 가진 중앙은행은 미연준과 무기한 무제한 통화스왑 거래를 체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번 국민연금 공단과의 통화스왑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걸까요?

한국은행 공지 자료

한국은행 자료를 참고해서 보면, 계약 방식은 계약일에 외환당국(중앙은행)이 국민연금에 달러를 지급하고 원화를 정해진 화율에 따라 (거래일의 매매기준 즉, 당일 환율) 지급 받습니다.

만기에는 동일한 환율 (만기일 시점 환율X)로 다시 재차 교환하는 방식입니다.

조기상환조건이 없으니 국민연금도 조기상환 리스크를 질 일이 없고 서로 이익인 계약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미 4월달에 스왑거래 체결을 했는데, 재차 공시했다는 것은 연장선상이라 볼 수 있습니다.

 

스왑거래의 장점은 

①환리스크 헷지

②경제주체들에게 환율 안정에대한 기대 인식

③국민연금 공단의 운용 수익 제고

④외환 시장 유동성 공급

등이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상황은 환율이 상당히 안정된 상황이지만, 

아직까지 이스라엘-하마스, 우크라이나 전쟁, 유럽 경제 회복 미미등 지정학적 리스크 및 우리나라의 수출 변동성도 상당히 내재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최근, 유럽 전기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보조금에 대해 기아차 니로와 같은 자동차 품목이 빠진것도 정책리스크라 볼 수 있음)

따라서, 외환 수급에 대한 리스크가 시장에 잔재한 상태에서 이러한 정책 결정은 긍정적인 신호로 보입니다.

(외환당국이 환율안정에 적극 개입할 거라는 의지를 시장에 심음.)

 


최근 팬데믹 그리고 2008년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통화정책과 재정정책간에 성격은 다르더라도 가장 중요한 것은 커뮤니케이션과 시장의 기대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기대와 다르게 되면 동태적비일관성과 같은 전혀다른 비용을 부담하기도 하며, 기대에 알맞게 정책을 집행하고, 정책효과가 미미하더라도 시장 기대가 높다면 시장 지표들이 상당히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인플레이션의 경우 기대인플레이션이 고물가 상황에 미치는 영향 또한, 경험했습니다. 외환시장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지난 고금리 상황 동안, 일시적이지만, 금리 인하 기대 금리 격차 확대 기대등을 통해 환율이 급등하거나 급락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물론 그러한 영향이 일시적이고 오직 금리때문이라곤 볼 수 없습니다.

그래도 이러한 사례들이 현대 경제정책에 있어서 시장 주체들의 기대가 얼만큼 중요한지 보여주는 대목이라 생각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