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시사

남는곰의 매일 뉴스 읽기 -14-[공포의 델타 변이바이러스 우리 한국의 앞으로 대응은?&매일경제 신문]

by 남는곰 2021. 6. 28.
728x90
반응형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21/06/622889/?utm_source=naver&utm_medium=newsstand 

 

공포의 델타변이…각국, 확진자 증가세에 화들짝 방역고삐(종합)

영국·러시아 이미 잠식…세계 누적감염 8만여명 세계 신규확진 4월 이후 줄다가 다시 40여만명 `골든타임 놓칠라` 유럽·아시아·호주 서둘러 규제강화

www.mk.co.kr

매일경제

요즘 델타 바이러스의 엄청난 전이 속도에

세계가 다시 출렁이고 있는데요.

오늘은 이 뉴스에 대해서 말해보려고 해요

매일경제

위에 그래프만 볼 수 있듯이

점점해 지듯 했던 코로나가 다시 상승 추세로 가고 있는 것 을 볼 수 있습니다.

벌써 8만건이 돌파 되었고

델타 변이바이러스는 백신을 맞아도 60%만 면역

마스크 쓴상태여도 감염이 된다고 하네요.

매일경제

이미 코로나 초기에 강력한

봉쇄령을 내렸던 호주와 뉴질랜드는 

이미 다시 봉쇄조치에 들어가기 시작했습니다.

 

도쿄 올림픽에 앞둔 일본 또한 

이 델타 바이러스에 다시 코로나 확진자가 많아지고

이스라엘,그리고 88% 백신 접종률인 

영국또한 만명이상의 코로나 확진자가 나오고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과연 어떻게 해야할까요??

네이버"델타변이"검색창

이미 벌써 256명의 델타변이 환자가 생겼고

확산이 쉬운 만큼 

여름철 감염이 심해질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심지어 방역 조치 완화로 인해서

많은 국민들이 야외 활동을 늘리게 될것이고

 

또다시 작년의 여름을 겪게 될 지도 모릅니다.

 

경제를 공부하고 있는 사람으로서

이 이상의 추경과 

많은 양적완화 정책은

큰 후폭풍과 함께

지금까지와는 다른 경제위기가 올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올라가는 생산자 물가지수에 비해 

국민소득은 따라잡지 못하고있고

 

정부에서 찍어낸 화폐들은 

소비에 들어가는것이 아니라 

재테크에 집중 되고 있습니다.

가계부채 또한 GDP 210%를 넘기면서

위기 수준으로 넘어가고 잇는데요.

 

만약 이대로 부채가 늘어남에 따라서 

국가 신용도가 하락하고 경제 전체적으로 대출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큰 위기가 올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소비 진흥이 아니라 

기업들이 고용을 많이 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져야 합니다.

 

고용이 많아지고 경제활동에

활성화가 일어나면 

미래에 불안한 소비 심리가

완화 되면서 

소비도 늘고 그에따라 기업의 경제활동도

활성화 되는 큰 효과를 이룰 수 있습니다.

 

현재 소비촉진 정책은 소비자의 소비 심리를

적절히 유인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제 생각입니당!)

 

 

아무튼 ㅠㅠ 엄한데 돈 안쓰고 

국내 기업들이 뒤쳐지지 않도록

힘써줬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