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62444041
"연내 금리인상 필요"…굳히는 이주열 총재
"연내 금리인상 필요"…굳히는 이주열 총재, 한은, 물가 상황 점검 "경기 회복세 빨라지면서 물가상승 압력 높아질 것"
www.hankyung.com
안녕하세요 남는곰이에요!!
요즘 다들 주식이나 재테크의
관심이 커서 그런지
경제 뉴스나 기업 뉴스에 관심이 많은것 같아요
오늘 은행주식 들이 아주 날뛰었는데요
요즘 최고가를 찍으면서
하나금융지주나
기업은행
KB등이
많이 오르기도 햇죠
바로 한은 총재의
자산의 거품
가계부채
경기 회복세
등을 들어 연내 11~8월달
기준금리 상승을 예고 해서 그런데요!!
또다시 추경 예산 30조가 책정되면서
인플레이션 압박과
그에 따른 금리 인상이
필요해지고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물가 전망치는 선행 지표로
물가가 상승 할 것 이다를 보여주는데요
경제 주체 대부분이
앞으로 물가가 상승 할 것 이다!
라고 예상하는 것 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금리 인상은 연속적으로 한다고 하는데요
금융 위기전 2007년에도
금리인상을 5년동안 7번 한 것으로 보아
유동성 함정의 기대어
(유동성 함정이란 화페공급이나 이자율 변화가
총수요나 총생산에 효과를 주지 못하는 현상)
정책적 효과를 보기위해서
금리인상을 연속적으로 시행 하는것으로 생각 됩니다.
또한
가계 부채가 1년만에 GDP 대비 15%상승 했다고 하는데요
무려 약 220%...
경제 위기 10년 주기 설이 생각 나네요....
제가 가져온 데이터인데요.
추세를 보기 만 하여도
파란색 데이터 바인 민간신용(가게부채+기업부채)가
GDP대비 비율이 코로나 시기에 급등한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한은 측은
이러한 사실을 고려해서
적절하게 금융 정책을 펼친다고 합니다.
제 견해 입니다!!!~
저는 어떻게 될지 잘 모르겠지만
한은 조사에서
GDP갭이 현재 마이너스
(잠재 성장률에 실제 성장률이 못미침)
이지만 내년초에 양수로
돌아간다고 하는데요.
그만큼 회복이 빠르게 전환될 수 있다는 것과
많은 양적완화 정책의해서
우리 나라 인플레이션
을 고려서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것 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기준금리 상승 기대에 힘을 얻어
시장 금리 들은 오르고 잇는데요
만약 주식투자자 분들이 보신다면
이자율 상승에
매출액 상승으로 인한 금융 주의
주가 상승을
노릴 수 있을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경제 여기서 어떻게
해쳐 나가냐가 문제인것 같아요.
정부나 국회에서
한은이나 경제 전문가들에게
충분히 자문을 한뒤 정책을 이끌었으면 좋겠습니다.
서로 다른 정책으로 인해 비용만 지출하고
효과 없는 정책의 무력성이 발 생 할 수 있으니깐요
현재 자산 비대칭이 커지고 있고
인플레이션도 일어나고 있고
저소득 계층의 소득은 늘지 않는데 비해
물가는 비싸
정작 도움받아야 할 사 람들은 도움받지 못하는것 같습니다.
기업들 또한 정부부채로 인한
세금이 늘어
자유롭게 활동을 못하는것도 큰제약인것 같습니다.
정부에서는 돈으로 해결하는 정책이 아니라
최대한 비용없이
제도적으로 풀어주고
기업들이 고용을 늘 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게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무튼!!! 오늘의 신문읽기
끝입니당!!!
'공부 >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는곰의 뉴스 읽기 -16-[캐나다 폭염으로 800명 사망/캐나다 폭염!?] (0) | 2021.07.04 |
---|---|
남는곰의 매일 뉴스 읽기 -14-[공포의 델타 변이바이러스 우리 한국의 앞으로 대응은?&매일경제 신문] (2) | 2021.06.28 |
남는곰의 뉴스 읽기 -12-[대한민국 10년후 인구지진? "일하는 인구 사라진다"] (0) | 2021.06.24 |
오늘도 읽는다 남는곰의 매일 뉴스읽기-12-[메타버스 키운다!! 정부의 새로운 시장 개척] (0) | 2021.05.26 |
남는곰의 매일 뉴스읽기 -11- [미국 일본 여행금지 도쿄올림픽 강행?] (2) | 2021.05.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