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매일
매일경제 뉴스를 통해서
오늘의 키워드 뉴스를 메일로 보는편인데요!!
공감되는 뉴스이자
우리나라의 근본적인 원인을
알려주는 뉴스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뉴스를 보시는것이 더 좋을 수도 있지만
저 나름대로의 해석과 공부 차원에서 이렇게 포스팅합니다!
위에 그림에 나오는 그래프들은
한국은행에서 분석한 그래프입니다!!
한국의 경제성장 추세 저조, 저성장
선진국의 문턱이라고하는
1인당 국민소득의 기준금액은
4만달러입니다.
2018년에 3만달러를 돌파하고
11년도~20년도 연평균 소득성장율3.2%로
계산했을떄 11년
즉 2028년에 4만달러를 달성하게 됩니다!!
11년????
사실 저위에 그림을 보면 큰 문제가 될것 같지만
이부분에 대해서는
기간이 오래걸린다는 측면에서는
고려는 해야할 사항이지만
큰 문제가 되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
보시다 시피
경제 선진국인 독일도 12년이 걸렸기 때문에
(통일 문제도 있었을 것 이다,)
1인당 국민소득은 GNI즉, 국민소득에서
도출해 낸 값 이기때문에
소득 불균형이 전혀 포함 되어 있지 않습니다.
2020년 우리나라 소득 상위 20%가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순자산은 62%입니다.
이처럼 1인당 국민소득이
국민들의 소득수준이나 생활수준을 완전히 반영한다고
볼 수 없습니다.
하지만 참고 할 수 있는 좋은 자료 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저 성장입니다.
지금은
기저 반등 효과로 인해서
(코로나로 인한 경제충격을 회복하면서
경제성장이 큰것 처럼 보이는 착시효과)
경제 성장이 커보이지만
경제성장율은 계속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한국은행 분석으로
2023년이후에는 2%이하로
떨어진 경제성장을 할 가능성이 크다고 했습니다.
저성장의 문제점은
★저 출산>>고령화>>경제활동인구 감소
★소득 기반의 부실>>정부의 기업규제정책
등등 이거 말고도
여러가지 변수가 있겠지만
제일 중요한건
저출산 고령화 구조
와 고용의 불안정
이 두가지 일 것입니다.
많은 경제 전문가가 내놓은 해답은
기업의 규제를 풀고 중소,중견,대기업으로 이어지는
산업성장 사다리를 더 단단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출산과 고령화는
결국 시간이 오래걸리는 일이기 때문에
구조개혁과 규제를 해야한다 합니다.
이 두가지 문제가 서로 엮어져 있습니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인재 부족으로 기업 인사에 안좋은 영향이 가고
기업들의 악재는 근로환경과
소득 불안정으로인해 저출산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경제문제는 여러가지 이해관계에 묶여 있기 때문에
특히나 곪아있는 고용문제와 저출산 문제는 더욱 심해 질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이대로 나두게 된다면
부익부 빈익빈 현상은 심해질 것 이고
인플레이션과
고용 악화로 인한 실업율 증가로
장기 경기 침체가 올 가능성이 큽니다.
미숙한 경제 분석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ㅠ
'공부 >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는곰의 매일 뉴스 읽기 -2-['은행빛 탕감법'] (4) | 2021.04.26 |
---|---|
Daily 신문 읽기!!! 시작!!! -1- (0) | 2021.04.25 |
EGS란? 기업들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새로운 투자 (0) | 2021.03.09 |
미얀마 힘내요!! 민주주의의 반격! 미얀마 쿠데타를 중단하라 미얀마를 구해줘 [미얀마 save 캠페인] (6) | 2021.03.04 |
미국 10년만에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국채매입매도 공개시장조작)&시장은 어떻게 변화할까? (0) | 2021.03.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