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날 미국 국채 금리가
갑자기 급등하는 바람에
주식시장 또 한번 요동 쳤었습니다.
국채금리가 다시 안정화 되고
주식시장이 이번엔 급등했는데요
국채 금리 안정책을 검토하고 있는
미국에선 오퍼레이션 트위스트가 채택될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국채금리에 이렇게 흔들리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리고 국채금리는 왜 움직이는 걸까요?
첫번째, 금리는 상환 능력과 상황에 따라 움직인다.
금리는 신용을 담보로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환능력과 상황이 안좋을 수록
신용이 낮아져 금리가 높게 책정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국채금리에 적용 된 것 입니다.
미국 국채 금리가 향후 경제적 상황이 안좋아 질 것 으로
판된되어서 금리가↑ 오른것 입니다.
두번째 장기 국채금리가 오르면 주식 시장이 왜 휘청 거릴까?
이유는 장기 국채금리의 상승이 투자 여건을 악화 시키기 때문입니다.
기업이나 정부에서 하는 사업과 투자들은
그때 그때 벌어서 사업하는 것 이 아니라
대부분 돈을 빌려하는 것 입니다.
이 미국국채는 많은 은행 기업들이
빌리는 채권이기때문에 이것이 약화 되면
시장 전체가 휘청 거리는 것 이죠.
또한 장기 국채 금리의 급격한 상승은
국채 매입의 증가와 위험자산 조정의
문제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경우1
국채금리의 상승 >> 다른 위험자산(단기금리,부동산,주식등)의 조정
>>급격한 조정으로 인한 경제위기
경우2
국채금리의 상승>>달러강세(국채 매입으로인해 달러 유통량 감소)
>>한국의 외환보유액 감소
>>한국 주식 시장 하락
경우3
국채금리의 상승>>채무자 부담 증가
>>상환못할시 부도
>>대부분은행들비중높음
>>은행 연쇄파산(극단적)
경제라는건 네트워크효과처럼
모든 자산과 시장,변수들이 거미줄처럼
엮여 있습니다.
사실 이러한 사회과학 학문은
사후 분석은 쉽지만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어떤식으로 영향을 미칠지 누구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여러가지 경우를 예측하고
우리는 대비 할 수 있어야합니다.
우리 돈을 지키기 위해.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는
경제 안정화 정책중 하나로
장기 금리 안정화를 위해서 실시하는 정책으로
장기국채 매입>> 가격상승 -금리 하락, 화폐 유통량 감소
>>단기국채매도>>가격하락-단기금리 상승, 화폐 유통량 증가
장기 국채매입과 단기 국채 매도를 동시해 실행하여
국채매입에 따른 화폐 유동성의 변수를 없애고
금리에 변화만 꽤하는 정책
'공부 >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는곰의 매일 뉴스 읽기 -2-['은행빛 탕감법'] (4) | 2021.04.26 |
---|---|
Daily 신문 읽기!!! 시작!!! -1- (0) | 2021.04.25 |
EGS란? 기업들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새로운 투자 (0) | 2021.03.09 |
저성장 지속 1인당 국민소득 4만달러 대체 언제? 대한민국 경제성장율 하락세 (4) | 2021.03.07 |
미얀마 힘내요!! 민주주의의 반격! 미얀마 쿠데타를 중단하라 미얀마를 구해줘 [미얀마 save 캠페인] (6) | 2021.03.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