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중국4

위기의 한국 배터리? 중국 덤핑, 글로벌 배터리 시장 비상 2010년 기준 한국 gdp의 7~10%정도 차지하는 배터리 산업이 위기입니다. 2022년과 2021년 자료를 비교하더라도 국내 배터리 기업의 세계 점유율이 점차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는 무섭게 치고올라오는 중국 기업과 잠재 배터리 수요 대부분이 중국이기 때문인데요. 골드만 삭스에서 분석한 자료에 의하면 2030년까지 중국내 에너지 저장용 배터리 수요가 70배정도로 증가할 것으로 보고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은 더욱 저가의 배터리 상품을 대량 생산하고 있는데요. 과거 태양광 산업에서도 웨이퍼-셀-발전 까지 거의 모든 공급 사슬에서 잠식을 성공하였는데요. 이러한 결과를 만들게 했던 것도 중국의 덤핑이 성공했기 때문입니다. ★덤핑이란? 덤핑(dumping)은 일반적으로 원가이하 판매를 말한다. 여기서 원.. 2023. 9. 4.
중국경제 침체와 우리나라 경제 악화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강해지면서 우리나라의 경제 둔화도 우려됩니다. 하지만, 중국인의 국내 여행자 증가가 예상되면서 민간 소비 중심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우리나라 경제는 7월 산업활동 동향을 보면 생산 소비 투자 모두 감소하는 트리플 감소를 기록했습니다. 여전히 광공업과 제조업 생산이 부진하고, 재고 는 증가했으며, 소비 또한 7월 들어서 감소하면서 팬트업 효과가 감소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소비는 화장품과 같은 비내구제 중심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중국인 국내 여행이 증가하면서 8월이나 9월 부터는 재차 상승할 여력이 있어 보입니다. 투자는 여전히 낮은 생산과 글로벌 경기 침체 그리고 고금리 영향으로 저조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국 은행 8월 전망에 의하면 올해 성장률은 1.4%로 .. 2023. 9. 3.
유루세 인하 연장 우리나라 인플레이션 현황은? 현재까지 주식 시장은 많은 혼란이 있는데요. 코로나 극복과 금리 인하 기대로 회복해왔던 금년 상반기와는 다르게 하반기는 1. 예상과 다른 중국경제의 침체 조짐 2.물가 경로의 불확실성 3. 미국 금융 시장의 불안 4.한국 미시적 금융 불안 여전 등으로 인해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상반기 후반까지 삼성전자가 상승했던 것은 반도체 최대 수요국인 중국과 미국 중 중국의 회복세가 교역중심으로 더딘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하반기에는 상승할거라는 기대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반면 우리의 우려와 다르게 중국의 경우 경제가 침체되는 모습을보이고있습니다. 뿐만아니라 여태까지 금리 인상 및 긴축 기조를 유지했던 목표중 최우선사항인 물가가 다시 상방 압력 즉, 재차 상승할 것 같은 조짐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석유 가격.. 2023. 8. 18.
중국 호주 석탄 수입 재개? 중국 석탄 석유 대란과 인플레이션의 위협[중국 전력난 살펴보기] 이번에 중국이 석탄 부족으로인해 전력난을 극심하게 겪었죠. 지난 4월 호주는 코로나19 발원지 중국에대한 조사 요구로 중국을 압박했는데요. 중국은 이에 대응하는 조치로 호주에서 수입하는 13개 분야의 수입금지를 선언했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발전용 석탄의 57%를 호주에서 수입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도네시아등 다른국가들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었는데요. 하지만 호주석탄 수입량의 턱없이 부족해 큰 문제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다시 재개 되었다는 소식입니다!! 전력난을 제외하고도 헝다그룹(중국 부동산 기업) 사태 또한 판타지아(부동산 기업)또한 디폴트 위험으로 파산 가능성이 도사리고 있는데요. (디폴트란 채무 불이행 돈을 갚지못함) 대외 적으로도 석유값 상승과 전세계적인 양적완화 정책으로 인해 인플레이.. 2021. 10.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