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근원물가상승률2 8월 소비자물가지수 3.4% 다시 다가오는 인플레이션의 공포 통계청에서 발표한 8월 소비자 동향을 살펴보면 서비스 물가 중심으로 다시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반등했습니다. 다시 인플레이션의 공포가 다가오는걸까요? 부동산 pf 부실 위험도 다시 재조명 되는 가운데 이러한 소비자 물가상승률의 반등은 기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할까요? 한국은행 8월 경제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시나리오 별로 살펴보면 시나리오1,2는 각각 미국과 중국 경기 둔화이고 시나리오3는 지정학+이상기후로 인한 원자재 가격상승입니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다양한 시나리오를 보더라도 금년에는 3%대로 예상됩니다. 2%까지 금년 상반기에 하락했던 이유는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인한 기저효과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작년 인플레이션을 견인했던 것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인한 수출 물가 상승입니다. 전년동월대비.. 2023. 9. 5. 소비자 물가 지수 3.7%!! 물가 하락하는가? [물가 상승,하락 요인 분석&경제 시사] 소비자물가동향이 발표되었습니다. 4월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7%로 드디어 3%대를 찍었는데요!! 앞으로의 소비자물가 어떻게 될 것인지 그리고 통화정책은 이에 따라 어떻게 운영될 것 인지 얘기해보겠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월 대비 0.5%p나 감소했습니다! 이러한 감소효과는 작년 물가가 상당히 높았던 기저효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물가는 작년 7월 고점을 찍고 내려오고 있는데요. 2월 부터 한국은행 예상대로 기저효과로 급격히 물가상승률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등락률에서 알 수 있다 싶이. 고점이였던 7월 이후 동향이 가장 중요할 것 같습니다. 다른 외생변수(다른 요인들)을 제외하고 소비자 물가 추세로 보았을때 고점이후 하락세가 저조하고 근원물가 상승률 (한국에서 자주 쓰는 농산물 제외.. 2023. 5. 6.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