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공부/경제 상식40 기억효과와 우하향하는 필립스곡선[간단정리] 기억효과 또는 이력효과는 영어로 hysteresis로 경기침체 혹은 불황이 왔을때 국민경제의 산출량이 잠재 산출량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경제 시스템내에 각인되어 잠재 산출량 자체를 낮추는 현상을 말한다. 산출량과 실업률은 1대1 관계 이기 때문에 (y=f(u), 즉 산출량에대한 실업률 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필립스 곡선하에 나타낼 수 있다. 위의 그래프를 확인해보면 먼저 경제가 A수준에서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필립스 곡선은 pc0이다. 불황이 발생하게 되면 b점으로 물가상승률이 하락하고, 실업률이 상승하게된다. "자연실업률가설"에 의하면 결국 다시 자연실업률 수준으로 장기에 회복하기 때문에 (기대인플레이션이 b점의 물가상승률과 같아지기 떄문에 필립스 곡선자체가 하방이동한다. pc0 .. 2023. 2. 7. 리카르도의 대등정리 [간단정리] 리카르도 대등정리란? 정부에서 자원 조달 수단에 변화를 줄때 그 방식이 무엇이든 민간부문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케인즈학파는 1920년대 대공황이후 수요가 공급을 창출한다는 유효수요이론을 내새워 재정정책을 통해서 불황을 극복할 수 있다고 얘기했습니다. 또한 케인즈는 소비에 영향을 주는 처분가득소득을 늘리기위해 세금을 감면하면 소비지출이 늘어나고 경기가 활성화 될 수 있다고 했습니다. 반면 고전학파인 리카르도는 이러한 케인즈학파의 정책을 대등정리를 통해 비판했는데요. 대표적으로 정부의 재원 조달 수단은 세금과 국채가 있습니다. 세금으로 재원을 조달하든 국채를 조원하든 결국 채권으로 조달하여도 미래에서 국채 상환을 위해 세금을 더 조달하기 때문에 세금대신 국채로 조달하여도 소비 변화에는 아무런 영.. 2023. 2. 6. FOMC가 뭐에요?? FOMC에 코스피 코스닥 주춤 도대체 뭐길래?!? 안녕하세요!! 경제 알려주는 남자 남는곰입니다. 뉴스에서 FOMC 약세 FOMC 위협에 약세 이런말들이 많죠? FOMC를 알기전에 Fed라는 미국의 중앙은행 부터 알아야 하는데요. 미국은 연방준비위원회가 있고 그 산하 통화 정책 의사 결정 기구 가 있는데 바로 그게 fomc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입니다. https://www.federalreserve.gov/monetarypolicy/fomc.htm 우리나라의 금융통화위원회랑 똑같은데요. 우리나라 한국은행의 목표는 1차로 물가안정 2차로 금융시장의 안정인데요. 미국의 fomc의 목표는 금융 시장 안정 물가 안정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이 있습니다. fomc는 총 8번 있고 그 때 마다 우리나라와 같이 기준금리 통화정책의 방향을 결정하는데요. 이번 fomc가 올.. 2021. 12. 15. 독과점 그리고 산업집중도 (러너 지수, HHI(허핀달-허쉬만지수), CR(시장집중도 비율)) 안녕하세요!! 남는곰이에요!! 살면서 독점과 과점이라는 말을 진짜 많이 들어보셨을텐데요!! 어떤 의미 인지 자세히 모르는 사람들이 대다수 일겁니다. 오늘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독점 과점 이런 시장 형태를 구분 짓는 것을 "시장 구조" 라고 하는데요. 총 4가지로 크게 분류 하고 있습니다. 1.독점시장 2.과점시장 3.독점적 경쟁시장 4.완전경쟁시장 자세한 분류로는 기업의 수 1. 소수 혹은 하나 : 과점(소수), 독점(1개) 2.많다: 독점적 경쟁시장, 완전경쟁시장 으로 나뉩니다. 그리고 기업들이 생산하는 제품이 동질 즉, 같으면 완전경쟁시장 이질적 이면 독점적 경쟁시장입니다. 어떤 시장이냐 에 따라서 균형 상태의 가격 과 거래량이 달라지는데요. 독점 시장 같은 경우(나중에 자세히 한번더 설명하겠습니다.. 2021. 12. 6.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