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시사

환율 1390원선 돌파!! 환율상승?? 환율 변동성

by 남는곰 2024. 10. 27.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남는곰입니다!!

오늘은 환율에대해서 말해볼 건데요!

오늘 10월 27일 기준으로 환율이 1390원까지 상승하면서 10월 초 1300원 초반대에서 급격히 상승하게되었습니다.

그 배경과 환율이 상승하면 우리나라 경제에 어떤 반응이 오는지 순수출 측면과 자금시장 측면에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과 우리나라의 금리차이와 미국 물가 상승률 동향에 따라 금리 인하 관점이 커지고

반도체등 부진했던 산업들의 수출 양전환이 계속되면서 우리나라 환율은 어느정도 하락하면서 안정되어가다

트럼프 재선 기대 상승과 미국 대선등의 영향으로 미국 투자가 늘어남에 따라 

환율이 상승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10월 수출 동향도 보면 예상치보다 많이 회복 되지 못한 것도 큰 요인으로 

원화 절하에 큰 영향을 미친것으로 판단됩니다.

 

9월 기준 금융계정을 보면 내국인의 해외 투자와 외국인의 내국 투자 모두 증가햇지만,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3배이상 더 증가함으로써 외국 자산이 증가하였고,

이러한 것도 환율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친것으로 생각됩니다.

 

수출 물량지수와 외환보유액 현황을 보면 

환율이 하락된 9월에는 수출물량은 증가 한것을 볼 수 있습니다.

외환보유액도 큰 변동폭이 없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감내 가능한 수준이지만, 이러한 변동성이 대선이후에도 계속된다면 

한국은행 및 기재부에서 대응 할 것 으로 봅니다.


 

이러한 환율의 상승은

자금시장에서는 대표적으로 내국의 투자 < 내국인의 해외 투자 많은 경우

 

실물시장에서는 수출 < 수입 인 경우 발생하게 됩니다.

 

물론 이외에 미래 기대에 부응하여 환율이 작용 되기도 하지만,

실물 시장과 자금시장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대표적으로 위의 두 가지 원칙에 의해 이루어 집니다.

 

지금 현재 상황과 같은경우 제가 생각하기에는

1. 미국 대선

->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기대감으로 트럼프는 보호무역을 내세우기 때문에 미국의 투자가 많아 질 수 밖에 없고 내국의 미국의 투자가 많아지고 이러한 경향은 금융시장내에 미래 환율 상승기대, 달러 투자등을 불러일으켜 환율 상승을 야기 시킬 수 있습니다.

 

2.지정학적 리스크(전쟁등)

북한 러시파 파병, 장기화된 전쟁과 확산 위험등은 실물 경제 뿐만아니라 금융 시장에서도 많은 리스크로 작용하고, 시장 참여자들의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강화시킵니다.

이러한 심리는 안전자산인 금, 가상화폐, 달러등의 가치를 상승시킵니다.

 

크게 이 두가지 리스크를 통해 환율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생각되는게 있을 겁니다. 수출은 늘어나고 있지 않은가??

최남진. (2022). 환율 변동성 요인 분석 및 환율 변동성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 미국 통화정책 영향을 중심으로 -. 동북아경제연구, 34(2), 71-99.

위 연구에 의하면 금융 위기이후 실물경제의 환율 전가성이 낮아졌습니다. 즉, 환율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클 수 있으나 수출이 극젹인 변화를 이루지 않는다면 환율의 변동 기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 입니다.

 

 


앞으로 우리경제는 환율 상승에 어떻게 대응 할까요?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가격 저하로 수출물량이 늘어 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환율의 지속적인 상승은 장기적인 원화 절하로 판단되어 해외 투자자들의 내국 투자 선호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정부나 정책당국에서는 환율을 특정 가격에 맞추는 타켓 정책을 세우지는 않을 것 입니다.

중요한 것은 "변동성" 이기 때문입니다.

기업들은 미래 환율 가격에 맞추어 햇지하여 대응하기 때문에, 환율 변동성이 커지면 선물와 현물 사이의 괴리가 커지고, 이러한 괴리는 기업들의 큰 비용으로 작용합니다.

다만, 상승 하고 있고 변동성이 크지않다면 헷지를 통해 방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변동성이 커지면 예측 불가하여 환리스크가 커지기 떄문에 추후 변동성을 지켜보고 대응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렇다고 금리 상승? 환율은 금리를 제외하고도 많은 변수에 영향을 받습니다.

오히려 우리나라 금리 변동은 큰 변수가 아닙니다. 

미국의 통화정책은 큰 변화 요인이긴합니다. 다만 또한, 앞으로 큰 영향을 주긴 어렵다고 판단됩니다.

앞으로 미국도 금리 인하 기대가 있고 대선, 트럼프등의 요인등을 통한 영향이 훨씬 크며 금리는 생각보다 큰 영향을 줄 가능성이 적습니다.

 

우리나라는 오히려 환율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면 그 진폭이 크지않도록 외환시장 개입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지금 처럼 한달사이 5%이상 환율이 상승하는 경우 외환시장 개입을 통해 변동성을 줄이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