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bok.or.kr/portal/bbs/B0000347/view.do?nttId=10075147&menuNo=201106&pageIndex=1
강원랜드 사태와 흥국생명사태 이후 시작된 자금난이
빠른속도로 회복되고 있는데요.
한국은행 자료에 의하면
자금시장 회복 원인
-주가 회복
-연초 회사채 흥행 성공으로 인한 자신감 회복
현황
-우량물 중심으로 회복
(신용스프레드 상당히 낮은 추세를 보이고있음.)
위의 사진 확인해보면, 우량물 중심으로 축소폭이 상당히 크고 회사채는 그에비하면
스프레드 축소폭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음.
(스프레드란 국채 대비 해당 채권 금리로 리스크에 대한 보상 금리라고 생각하면된다.
높을 수록 위험도가 높아짐.)
cp시장도 상당히 개선됐는데 pf-abcp은 아직까지 244bp로 스프레드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있지만,
대부분 최고치 대비 상당히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고,
발행금리 스프레드 추이를 보면(우측 그래프)
우하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과거에 비해 빠르게 회복했다.
과거- 60~90영업일 이후 회복
최근사태-40여일만에 회복세 전환
상당히 빠르게 회복속도도 1영업일당 평균 1.9bp씩 축소되어 상당히 빠른 모습을 보여주고있다.
다만 cp 시장의 경우 아직까지 회복이 절반까지 밖에 안되었다.
추후 불확실성도 상당히 높은 상태
금리 인상으로 (최근 0.25bp상승 fed 추후 금리인상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고
경제 회복 상황이 호조여서 금리 인상여럭이 어느정도 있는 것으로 시장에서
판단함.)
만기도래 상품의 부담, 경기둔화시 신용위험 증대, 부동산 관련 상품의 취약성 높음등이
추후 리스크로 생각된다.
또한 최근 관리 물가 상승으로 추경에대한 논의가 되고 있지만,
추후 세금 걷는 것이 어렵고 세수가 줄어들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부채가 급속히 증가하면서, 이에대한 리스크도 상당히 존재하고 있다.
'공부 > 경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수지와 무역수지의 차이점 [간단정리] (2) | 2023.02.10 |
---|---|
은행들의 이자장사? 불황에 대비하라 [기사리뷰] (0) | 2023.02.08 |
먼델-토빈효과 [간단정리] (0) | 2023.02.07 |
기억효과와 우하향하는 필립스곡선[간단정리] (0) | 2023.02.07 |
리카르도의 대등정리 [간단정리] (0) | 2023.0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