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물가상승률6 앞으로의 물가와 기준금리 추이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 운영 상황 점검에서 앞으로 물가는 추세적으로 둔화될 것으로 발표하였다. 소비자 물가상승률과 근원물가상승률은 목표율인 2%대를 근접하고 있으며,최근 농산품 가격 상승으로 주춤했으나, 다시 둔화흐름을 이어가고 있다.이러한 원인으론, 높은 물가수준으로 인한 민가소비 둔화와 석유 및 서비스 물가 둔화가 원인으로 판단된다.기대인플레이션 또한, 이러한 물가의 추세적 둔화가 반영되어 점차 안정화 되고 있는데,일반인 그룹은 아직까지 3% 초를 유지하고 있지만, 전문가 그룹과 국채 금리에 반영되는 기대인플레이션지표인 bei는 2%대로 비교적안정적이며,국채 금리도 이로 인해 하락하는 모양새를 보고 있다. 국채 금리가 하락한다는 것은 기준금리 인하에대한 시장의 기대를 나타내고 여러차례 동결해왔던 기.. 2024. 6. 23. 우크라이나 카호우카댐 붕괴, 곡물가격 치솟나? 다시 시작되는 인플레이션 위협 지난 6일 카호우카댐 폭파되어서 곡물 가격 상승이 될거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를 통해 가져온 타호우카댐 피해 사진입니다. 카호우카댐이 폭파되면서 일대 홍수가 일어났고, 농경지 피해와 물부족 사태가 일어났습니다. 우크라이나 농업정책부 발표에 따르면 헤르손주 관개시설 94%, 자포리자주 74%, 드니프로페트로프스크주 30%가 물부족을 겪을 것으로 얘기했습니다. 또한 물부족 사태로 인해 농업용 물이 부족해져 농경지가 사막으로 변할 위험이 있고, 홍수등의 영향으로 2~3년정도 농경지로 활용되기 어렵다는 전망이 강합니다. 카호우카댐 붕괴로 42만 헥타르의 농지가 2~3년동안 관개농업이 불가해졌는데 이지역의 농업 생산량이 우크라이나 전체 농업 생산량의 12%를 차지하기 때문에 곡물가격 상승 영향을 피.. 2023. 6. 8. 2월 물가 상승률 하락 4%대 금리 인하하나? 금리 인상의 세가지 관점[경제 시사] 안녕하세요!! 남는곰이에요!! 오늘 통계청에서 소비자물가동향 보고서를 냈는데요. 2월달 물가상승률이 4.8%대로 전월대비 -0.4% 하락했습니다!! 한국은행 2월 통화정책방향 기자회담에서 이창용 총재가 말하길 작년 우크라이나 사태이후 3월달부터 물가 상승이 시작되어 3월달엔 4% 초반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요. https://www.sedaily.com/NewsView/29MX6HCRP8 [속보]2월 물가상승률 4.8%…전기·가스·수도 28.4% ↑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전월보다 낮아지며 10개월 만에 4%대로 둔화했다. 석유류와 축산물이 하락세로 돌아섰지만, 상수도 요금이... www.sedaily.com 앞으로 통화정책방향과 기준금리 기조는 어떻게 될까요? 2월달 금통위에서는 동결했는데 금.. 2023. 3. 6. 1월 무역수지 적자 12.69억!! 11개월 연속 적자라고? [경제시사] https://www.kita.net/cmmrcInfo/cmmrcNews/cmmrcNews/cmmrcNewsDetail.do;JSESSIONID_KITA=1E4CEB49ED2186E01ECFDB2A574ECBB8.Hyper?pageIndex=1&nIndex=72948&sSiteid=1 1월 무역수지 126.9억弗 적자…11개월 연속 '마이너스'-무역뉴스 무역 관련 주요 국내 및 해외 뉴스, 최신 환율 전망 업데이트. www.kita.net 2022년 무역적자 규모가 427억달러 적자를 달성하면서 2008년 이후 최대 위기를 맞고 있는데요. 최근 소식에 의하면 1월달 무역수지 또한 126.9억 달러로 좋지 않은상태로 보입니다. 가장 큰 타격은 역시 D램 가격 하락과 대중 무역수출의 타격을 받은 반도체로 약.. 2023. 2. 10.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