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거시경제학2

사교육비 지출과 베커의 자녀수요 모형 최근 우리나라의 구조적인 경제성장률 하락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는 저출산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oecd 보고서와 각종 리서치 에서 2050년 이후 잠재성장률 (-)음을 기록할 것 으로 점치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사교육비가 높은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에 대한 원인을 밝혀 보기 위해서 베커의 자녀수요 모형으로 우리나라 저출산 원인을 밝힌 서울대 논문을 잠시 참고하여 얘기해보겠다. 베커의 수요 모형은 일단 부부의 효용이 각각 자녀수, 자녀의 자질, 그외 상품 지출에 의존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효용함수에 예산제약식은 이렇게, 자녀수에 대한 고정비용, 자녀자질에대한 가변,고정비용 그리고 그외 지출이 소득 범주내에 있다는 가정이다. (본 모형에서는 소득을 모두 지출한다고 가정.. 2023. 12. 16.
소득효과과 대체효과 기간간효과도 동일[간단정리] 소득효과 대체효과 헷갈리시죠? 간단하게 설명해드릴게요. 소득효과란? 소득의 증가로 두재화의 소비량을 늘리는 것 대체효과란? 상대가격 변화로 특정 재화의 소비는 늘어나고 다른 대체재 성격의 재화의 소비는 줄어드는 것을 말합니다. 기간간 효과로 예시들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그래프 없이 쉽게!! 먼저 현재 소비 C1 과 미래 소비 C2가 있다고 할때 소비제약식은 평생 소비의 현재가치의 합과 평생부 A0+Y1-T1+(Y2-T2/1+R)에 의해 결정되는데요? 제약식의 기울기 1+R와 처분가능소득 Y-T에의해 소비가 영향 받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소득효과는 말그대로 소득이 증가하면 소비가 증가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알아야할 점은 "소비자는 매 기간 최대한 고르게 소비하려는 성향이 있다" 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 2023. 2.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