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시사

경제와 세계화와 규제 그리고 죄수의 딜레마[prisoner's dilema/theory of game]

by 남는곰 2021. 7. 25.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남는곰이에요!

위에 사진 귀엽죠 예전에 키우던
랑랑이 사진이에요!!!
너무 이쁘게 커서 뒷산이나 산책 갈때마다
다들 이쁘다고 난리가 났었는데
제가 수학여행 간날 ㅠㅠ
떠났어요 가출을..
항상 자기 밥 양보해주던 암컷개가 있었는데
맨날 찾아와서 랑랑이 밥먹고 가더니
암컷이랑 함께 떠났어요 ㅠㅠ

너무 귀여웟는데 ㅠㅠ

아 이번에 말할 주제는
위에 제목처럼
경제, 규제, 세계화
그리고 이 셋을 죄수의 딜레마로 풀어 보려고해요.
현재 세계정세가 자유주의??신자유주의와는 거리가
조금 먼것 같아요.
무역전쟁과 규제
국가 이익을 위한 규제 전쟁이 일어 난것 같아요.

먼저 죄수의 딜레마란?
만약 죄수 1 과 죄수 2 가 공범을 저질렀는데
둘은 상의 없이 따로따로 서로 결과를 알 수 없는 채로
조사를 받기로해요.
두가지 옵션 선택이있는데 1.자백 2.부인 이에요
둘다 자백하면 3년씩 징역살이를 하고
둘다 부인할시 둘다 5년을 살아요.
그런데 한쪽만 자백한다면
자백한쪽은 9년
부인한쪽은 0년을 살게되죠.

이상황에서 죄수 1과 2는 선택할 방법은 하나에요.
만약 죄수1이 자백을 한다면?
죄수2는 자백을통해 3년 부인을통해 0년을 살수 있죠
그렇다면 무조건 부인을하겠죠

반대로 죄수1이 부인을 한다면?
자백 9년과 부인 3년으로
이번에도 부인
결국 죄수 2는 부인하는걸 선택하게 될것 이에요!

죄수1도 같은 메커니즘으로 부인을 선택하겠죠
이 둘은 사전에 합의를 했다면
더 형량이 적은 자백으로 합의를 봤을 수도 있겠죠 하지만
합의없이는
모두 부인을 선택 했습니다.

이처럼 국가 외교 경제에도 죄수의 딜레마가
적용 될 수 있습니다.

지금 경제는 자유주의 를 외치며 fta 유럽 연합 같이
관세장벽을 허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같은경우도 한미fta
imf로 인한 외국인 자본 규제 완화등으로
자유주의에 한발 앞섰다고 볼 수 있죠

자유주의자들은
이런 세계화와
외국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은
자본의 유동성을 높이고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그런 이유로 개발도상국들은
자유를 강요 당하고 있죠!

실상은 다릅니다!!
미국 영국 러시아 일본 등은
이미 규제와 폐쇄를 통해
큰 성장을 해왔고
세계화 이후에는 저성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그리곤 이제 개발도상국에 자유주의를 앞세워
그 지역에 공장을 회사를 차리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대다수의 국가들은 자유를 강요 받았지만
선택권이 있는 강대국들은 기업에 다른 국가들이 못하는 대규모 지원과 중국같은 국가는 무역규제를
시작했죠 자국 기업을 보호하기위해서란 이유로

죄수의 딜레마로 보면
모두가 세계화를 통해 같은 이익을 보는게 아닌
간접적인 규제를 통해서
한쪽에만 이익이 치우쳐 진다고 볼 수 있죠.

저는 경제학을 배움에 있어서
돈이란 흐르고 흘러야
경제가 건강하게 성장한다고 생각해 왔습니다.

우리의 혈관에 피가 잘흐르는것 처럼말이에요.
그러나 피가 한쪽에 쏠리기 시작하면
혈관은 못참고 터지기 시작하죠.

경제도 똑같습니다.
낙수효과도 결국 흐르는 것이지요.
기업이 돈을 벌어 다시 소비로
재생산하는 것
그러나 게임이론에 죄수의 딜레마 처럼
누군가는 흐르게하고
누군가는 돈을 잡고 있습니다.

이게 맞는것인지 모르겠지만
세계화이후 모든 국가가 행복해 진것이 아니라
일방적으로 몇몇국가에만 돈이 쏠린다는 느낌이 들고 있습니다. 물론
세계화가 나쁜것 은 아니지만
우리는 기억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우리가 버는 돈은
우리가 자력으로 번것이 아니라 모두의 손을 거쳐
도달한것임을

아직 미숙한 경제지식이지만
포스팅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