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kakao.com/v/20210430112457603
14개월 만에..서비스생산지수 회복
3월 서비스업생산지수가 코로나19 사태 직전과 같아졌다. 사회적 거리두기만 강화하지 않는다면 내수폭발이 충분히 가능한 셈이다. 공휴일이 많은 5월과 여름휴가철을 앞둔 상황에서 백신도입
v.kakao.com
안녕하세요~ 남는곰이에요!!
이번에 시험공부를 열심히 하느러 어제
포스팅을 안했는데요
오늘 열심히 하나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오늘 스크랩할 뉴스는 바로바로
이 뉴스인 데요
사실 서비스업 생산 비율이 높은
저희나라에서는 이 서비스 생산지수회복이
코로나 이후 경제회복에 핵심이 되는
지수임은 분명해요
저희 삶에 가장 가까이 있는
지수이기도 하고요!!
서울대 교수님 께서 좋은 지적을 해주셨어요.
이렇게 회복한 서비스 생산지수가
일부 회복된 것이지
사회적 거리두기
즉 코로나가 끝나기 전에는
더 회복하기 어렵다는 말이에요.
14개월만에 회복한게
물론 좋은일이지만
여러가지 안좋은 신호가
부동산, 가계부채 ,국가 부채
대외 적 요소들도 그렇고
많은것같아요.
사실 다 언젠가 경제 위기가 올것이다
짐작하지만 언제 올지 모르는
폭탄 같은거죠.
사실 지금 이 사회가 너무 무서운것 같아요.
실업률은 점점 떨어지고
서비스업 생산지수가 회복됐다고 하지만
제가 봤을때는 코로나 이전까지는 아닌거
같은데
(신문에서는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다고 하더라구요)
얼릉 코로나가 진정돼서
내수 시장이 좀 회복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어느 뉴스에서 봤는데
10대 20대 청소년 60%가
결혼 필수가 아니다
그리고 결혼하더라도
80%이상이 출산은 필수가 아니다
라고 대답을 했다고 해요.
저도 20대로서 미래가 점점 암담하고
나를 챙겨야 가족을 챙기는데
내 앞길 부터 불투명한데
단정지을수가 없죠 ㅠㅠ
(저는 지금 영혼의 단짝을 만나 결혼은 필수에요)
우리나라에 너무 악재가 많은것 같아요.
얼릉 다 해소되었으면 좋겠어요.
어떻게 해야할까요??
정치권에서 좀더 명확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정책을 협의 했으면 좋겠어요.
같은 목적엔 같은 의견으로
서로 헐뜯기가 아닌
아무리 위에 사람들이 잘살더라도
아래가 부실하면
그만큼 높은 곳은
충격이 큰 법이잖아요.
후.. 너무 길어졌는데
아무튼 열심히 살아보겠습니다.
'공부 >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는곰의 매일 신문읽기-8-["집값의 90%까지 LTV확대 고려" 과연 어떻게 될까?] (2) | 2021.05.16 |
---|---|
매일 뉴스 읽기 -7- [소니,파나소닉 다 합쳐도 삼성 절반이라더니!! 위기!!] (4) | 2021.05.12 |
남는곰의 매읽 신문 읽기 -4-["이건희 상속세 12조 전세계 최고...분할 납부시 연이자 1.2?!!?"] (0) | 2021.04.29 |
매일 신문읽기 -3-['비트코인으로 환치기해 강남아파트 산 중국인'] (2) | 2021.04.27 |
남는곰의 매일 뉴스 읽기 -2-['은행빛 탕감법'] (4) | 2021.04.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