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변수3

R 변수 모두 삭제하는법/ 실행 단축키 오늘 설명할 코드는 제가 R사용하면서 많이 사용하는 코드인 변수 삭제코드입니다. r studio를 이용해서 r 프로그래밍하다보면 새로운 분석때 마다 변수가 지저분해서 불편했던 적이 많았습니다. 이 코드를 이용하면 현재 만든 모든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만약 1개의 변수만 삭제하고 싶다면 rm(변수이름)을 통해 삭제할 수 있습니다. ★한줄 실행 단축키 alt+enter 드래그 해서 실행 -> 드래그한 부분만 실행 단축키 실행-> 해당 커서가 있는 부분 실행 전체실행의 경우 모든 코드를 드래그해서 단축키 실행하면 편함. 2023. 5. 18.
외생 변수와 내생 변수 쉽게 설명해드립니다!!&그림&경제학 내생변수와 외생변수에 대해서 설명해드릴게요! 내생변수(종속변수)란? 모형에서 정해지는 값으로 외생변수에 영향 받아 결정된다. 외생변수(독립변수)란? 모형 밖에서 결정되는 값으로 밖에서 값이 주어지고 모형에 영향을 준다. 쉽게 말해서 내생변수는 모형 안에서 2x+1=y이라는 모형이 있고 이모형은 x값에 의해서 y가 결정되는 모형입니다. 그렇다면 y변수는 x를 2곱하고 1를 더해서 결정되는 모형에 의해서 결정되는 내생변수가 됩니다! x변수는 처음에 모형 밖에서 주어지는 값이죠 밖에서 주어진다는 것은 이미 밖에서 값이 결정되고 예를들어 1,2 이런식으로 결정되고 모형안으로 들어와 모형상자에서 y라는 변수로 변하는 외생변수인것 이지요!! 참 쉽죠?? 모르는 부분은 댓글에 남기시면 설명해드릴게요!!! 2021. 7. 26.
유량변수 저량변수 진짜모르겠어!!! 알려드림(경제상식) 경제를 배우다 보면 알게되는 유량 변수 저량변수 알기 쉽게 간단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책에는 아마 이렇게 설명 되있으실 거에요. 유량 변수는 일정 기간동안 측정한 양으로 소득,투자,수요,공급등이 이에 해당한다. 저량변수는 일정 시점에 측정한 양으로 부채,자산,주식수등이 이에 해당한다. 진짜 무슨소리인지 모르겠다 그쵸? 그림으로 설명해드릴게요 이 그림을 보시면 제가 열심히 일해서 월급을 받죠 그러면 이월급이 쌓여서 자산이 될겁니다. 이처럼 여기서 자산이 쌓이기 위해서 일정기간동안 일해서 벌게되는 이 월급이 유량변수가 됩니다 .(일정기간동안 투입) ex) 부채를 쌓기위한 단기차입금, 일정기간의 국내총생산,일정기간의 서비스가격 등등 여기서의 자산은 일정시점의 양 즉 저량변수가 됩니다.(일정 시점에서의 양).. 2020. 11. 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