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미시경제학3 사교육비 지출과 베커의 자녀수요 모형 최근 우리나라의 구조적인 경제성장률 하락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는 저출산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oecd 보고서와 각종 리서치 에서 2050년 이후 잠재성장률 (-)음을 기록할 것 으로 점치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사교육비가 높은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에 대한 원인을 밝혀 보기 위해서 베커의 자녀수요 모형으로 우리나라 저출산 원인을 밝힌 서울대 논문을 잠시 참고하여 얘기해보겠다. 베커의 수요 모형은 일단 부부의 효용이 각각 자녀수, 자녀의 자질, 그외 상품 지출에 의존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효용함수에 예산제약식은 이렇게, 자녀수에 대한 고정비용, 자녀자질에대한 가변,고정비용 그리고 그외 지출이 소득 범주내에 있다는 가정이다. (본 모형에서는 소득을 모두 지출한다고 가정.. 2023. 12. 16. 미시경제학 소비자의 행동& 선호 안녕하세요!!~~~ 경제학 공부하는 남자 남는곰입니다 어때요? 잘 찍었나요?? 요즘 학교가서 공부하는데 여자친구가 직접 만든 녹차라떼랑 이번 생일 선물로 받은 안경으로 멋있는 사진좀 찍어봤어요!!! 제가 다니는 학교는 한성대인데 서울 도심에 높은곳에 있어서 전망도 좋고 바로옆에 성신여대랑 혜화라서 놀기도 좋아요!! (대학생이 무슨 !! 공부나해라!!) 아무튼 미시경제 오늘 하면서 공부한 내용을 한번 복습해 볼까요!??? 미시경제에서 시장속에서 소비자와 공급자는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맞닿는 곳에서 거래를 하게 되는데요 수요 곡선의 의미는 난 가격 p 에 수량Q 만큼 사겠다는 의지이고 공급곡선의 의미는 가격p에 Q만큼 팔겠다 의지입니다. 이 두가지를 알기 위해서는 우선 어떻게 행동을 하는지 선택을 하는지 알.. 2021. 4. 21. 재정학의 의의와 정부규모(작은정부vs큰정부) 오늘은 재정학에 대해서 알아볼거에요! ※본 포스팅은 저자의 공부노트입니다. 재정학은 경제 주체중 '정부'에 관한 학문으로서 정부의 경제활동인 재정에 대해 배우는 학문입니다 경제주체로서 배우는 경제 학문이기때문에 응용 미시경제학에 속하는 학문입니다. (미시경제학은 가게,기업의 경제활동) 재정학은 총 두가지 관심,혹은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요. 1.정부의 행동이 어떤것이 있으며 어떤 의사결정에 의해 결정되는가? 2. 정부의 행동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3. 여러가지 정책 대안중 어느것이 더좋고 나쁜가? 실증적 분석과 규범적 분석 그렇다면 재정학은 이세가지 관심사를 어떤 방식으로 분석할끼요? 1. 실증적 분석: 사실 토대로한 이해를 추구하는 분석으로 대부분의 경제 분석이 이를 말함(재정학에선 조세같은것.. 2021. 3. 9.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