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물가안정2

앞으로의 물가와 기준금리 추이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 운영 상황 점검에서 앞으로 물가는 추세적으로 둔화될 것으로 발표하였다. 소비자 물가상승률과 근원물가상승률은 목표율인 2%대를 근접하고 있으며,최근 농산품 가격 상승으로 주춤했으나, 다시 둔화흐름을 이어가고 있다.이러한 원인으론, 높은 물가수준으로 인한 민가소비 둔화와 석유 및 서비스 물가 둔화가 원인으로 판단된다.기대인플레이션 또한, 이러한 물가의 추세적 둔화가 반영되어 점차 안정화 되고 있는데,일반인 그룹은 아직까지 3% 초를 유지하고 있지만, 전문가 그룹과 국채 금리에 반영되는 기대인플레이션지표인 bei는 2%대로 비교적안정적이며,국채 금리도 이로 인해 하락하는 모양새를 보고 있다. 국채 금리가 하락한다는 것은 기준금리 인하에대한 시장의 기대를 나타내고 여러차례 동결해왔던 기.. 2024. 6. 23.
우크라이나 카호우카댐 붕괴, 곡물가격 치솟나? 다시 시작되는 인플레이션 위협 지난 6일 카호우카댐 폭파되어서 곡물 가격 상승이 될거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를 통해 가져온 타호우카댐 피해 사진입니다. 카호우카댐이 폭파되면서 일대 홍수가 일어났고, 농경지 피해와 물부족 사태가 일어났습니다. 우크라이나 농업정책부 발표에 따르면 헤르손주 관개시설 94%, 자포리자주 74%, 드니프로페트로프스크주 30%가 물부족을 겪을 것으로 얘기했습니다. 또한 물부족 사태로 인해 농업용 물이 부족해져 농경지가 사막으로 변할 위험이 있고, 홍수등의 영향으로 2~3년정도 농경지로 활용되기 어렵다는 전망이 강합니다. 카호우카댐 붕괴로 42만 헥타르의 농지가 2~3년동안 관개농업이 불가해졌는데 이지역의 농업 생산량이 우크라이나 전체 농업 생산량의 12%를 차지하기 때문에 곡물가격 상승 영향을 피.. 2023. 6. 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