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독점2 독과점 그리고 산업집중도 (러너 지수, HHI(허핀달-허쉬만지수), CR(시장집중도 비율)) 안녕하세요!! 남는곰이에요!! 살면서 독점과 과점이라는 말을 진짜 많이 들어보셨을텐데요!! 어떤 의미 인지 자세히 모르는 사람들이 대다수 일겁니다. 오늘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독점 과점 이런 시장 형태를 구분 짓는 것을 "시장 구조" 라고 하는데요. 총 4가지로 크게 분류 하고 있습니다. 1.독점시장 2.과점시장 3.독점적 경쟁시장 4.완전경쟁시장 자세한 분류로는 기업의 수 1. 소수 혹은 하나 : 과점(소수), 독점(1개) 2.많다: 독점적 경쟁시장, 완전경쟁시장 으로 나뉩니다. 그리고 기업들이 생산하는 제품이 동질 즉, 같으면 완전경쟁시장 이질적 이면 독점적 경쟁시장입니다. 어떤 시장이냐 에 따라서 균형 상태의 가격 과 거래량이 달라지는데요. 독점 시장 같은 경우(나중에 자세히 한번더 설명하겠습니다.. 2021. 12. 6. 주위에서 흔하게 볼수 있는 독점경쟁시장[경제상식] ※독점 경쟁시장 말그대로 독점과 완전경쟁 시장의 특성 두가지를 모두 가지고 있는 시장을 독점 경쟁시장이라고 합니다. 우선 독점 경쟁시장은 1.진입과 이탈이 자유롭다.(완전경쟁시장의 특성) 2.다수의 공급자가 존재한다.(완전경쟁시장의 특성) 3.상품의 차별화(독점시장의 특성) 이처럼 3번의 독점 + 1,2번의 경쟁 = 독점 경쟁시장 합쳐서 만들어진 시장이 바로 독점 경쟁시장입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떡볶이 점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우리 주위에 있는 떡볶이점들은 비교적 다른 업종에 비해서 쉽게 창업할수 있고(1번) 다수의 공급자가 존재합니다(2번) 또한 떡볶이 점 마다 그 맛과 특색 또한 메뉴구성들 상품들이 동일하지않고 차별화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3번) 이 독점경쟁시장의 균형도 구할 수 있는데요. 단.. 2021. 1. 3.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