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경제단어3

현실에 가까운 경제 행태경제이론!! [경제상식] 오늘은 행태경제이론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 하려고합니다. 행태경제이론 기존의 경제학을 주류 경제학이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신고전파 경제학입니다. 주류 경제학의 기본적인 가정은 합리성과 이기심으로 경제 주체들이 선택을 할 때 이기심과 합리성에 의해서 선택을 한다고 가정합니다. 하지만 행태경제이론은 이 합리성과 이기심에 대한 의문으로 부터 나옵니다. (현실에서는 이러한 합리적인 선택이 쉽게 볼 수 없다 는 것) 행태경제학은 사람들이 선택하는 행위에 합리성과 이기심이 항상 고려되지 않는다는 제한된 합리성 을 주장합니다. 행태경제이론의 예 A와 B라는 학생이 있습니다. 이 두 학생은 '주식으로 돈버는 사람이 많다'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주류경제학에 의하면 합리성을 통해 공식적인 통계와 분석을 통해서 이.. 2021. 1. 20.
알려 드립니다! 생산요소 [경제상식] 경제 공부하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것중에 생산요소 라는 것이 있는데요 오늘은 생산요소에 대해 다뤄 보기로 합시다!! 생산요소는 1.노동- 사람들이 제공하는 인력 서비스 (인력 서비스 이기 때문에 사람 그자체를 노동으로 보지 않아요!! 그사람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노동인 것이지요.) 2.자본-생산에 필요한 시설이나 기계,건물 같은 생산 수단 ※건물과 토지는 같은 개념이 아니에요 건물은 - 자본재로서 생산요소 자본에 해당되는 요소에요. 3. 토지- 토지,즉 땅 뿐만 아니라 그 토지에 존재 하는 모든 자연자원 (자연 자원도 토지에 속한 답니다!) 경제 필수 생산 요송에 대해서 알아 봤는데요. 생각 보다 아주 쉽죠?? 노동은 사람의 용역 서비스 자본은 생산수단 토지는 땅과 자연자원 이라고 생각 하시면 돼요! 2020. 12. 4.
유량변수 저량변수 진짜모르겠어!!! 알려드림(경제상식) 경제를 배우다 보면 알게되는 유량 변수 저량변수 알기 쉽게 간단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책에는 아마 이렇게 설명 되있으실 거에요. 유량 변수는 일정 기간동안 측정한 양으로 소득,투자,수요,공급등이 이에 해당한다. 저량변수는 일정 시점에 측정한 양으로 부채,자산,주식수등이 이에 해당한다. 진짜 무슨소리인지 모르겠다 그쵸? 그림으로 설명해드릴게요 이 그림을 보시면 제가 열심히 일해서 월급을 받죠 그러면 이월급이 쌓여서 자산이 될겁니다. 이처럼 여기서 자산이 쌓이기 위해서 일정기간동안 일해서 벌게되는 이 월급이 유량변수가 됩니다 .(일정기간동안 투입) ex) 부채를 쌓기위한 단기차입금, 일정기간의 국내총생산,일정기간의 서비스가격 등등 여기서의 자산은 일정시점의 양 즉 저량변수가 됩니다.(일정 시점에서의 양).. 2020. 11. 20.
728x90
반응형